“이윽고 작가가 말했다. 자기 자신을 잃지 마시오, 자기 자신이 사라지도록 내버려두지 마시오. 이것은 예상치 못한 말이었다. 상황에 어울리는 것 같지 않은 수수께끼 같은 말이었다.” 416쪽

이번주 지음은 416쪽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문장을 나누면서 대화를 시작했다. 어느 순간에도 자기 자신을 잃지 말라는 것은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 세상의 모든 것이 인간에게 폭력적인 모습이 되고, 악취가 진동하는 곳에서, ‘나’를 잃지 않는다는 것은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우리는 요즘 ‘나’라는 것을 생각할 때 무엇을 떠올릴까? 직업이나 스펙, 재산, 등, ‘나’ 자체가 누구인지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나를 표현할 수 있는 대체적인 가치들을 떠올리는 모습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나를 보여주는, 나를 둘러싸고 있는 가치들을 아무도 못보게 된다면, 내가 지니고 있는 스펙과 재산, 뽐내기 위한 직업, 등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

이런 상황에서 결국 ‘자기 자신을 잃지 말라는 말’은 수수께끼처럼 다가온다. 타인에게 보여주기에 익숙하고, 보여지기가 당연한 세상이기 때문에, ‘나’라는 존재가 어떻게 하면 상실되지 않을 수 있는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미 나 자신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그렇기 때문에 폭력과 악취가 자연스러운 것이다. 내가 만들어 내는 폭력과, 내가 만들어내는 악취는, 나와 타인과의 구분이 없을 때, 다름이 없을 때 만들어 지는 것이다.‘내가 이렇게 해도 괜찮아’ ‘다들 이렇게 하는데!’ 라는 말은 결국 타인과 나의 구별점이 없어지는 세상, 자기 자신이 타인과 같아질 수 밖에 없는 세상, ‘자기 자신을 잃는 세상’인 것이다. 그렇게 되면 폭력과 악취는,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그리고 이런 모습은, 우리 사회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결국 모든 것들이 다 사라지고, ‘나’라는 사람만 남았을 때, 우리는 어디에서 나를 찾을 수 있을까?

답은 명확하지 않았다. 다만, 기존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그것은 ‘추구함’에 있었다.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됨을 추구하고, 다시 눈이 뜰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며, 스스로의 모든 모습을 사랑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인간의 개별적 존재는 신기하게도 사회와 분리되어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지만, 사회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이 우선이었다. 내가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는지, 어떤 믿음을 가지고 살아가는지는 모든 것이 사라지고, 보여지지 않아도 볼 수 있는, 느낄수 있는 모습이었다.

이기적이게 살라는 말이 아니다. 무게중심을 스스로의 지반 위에 두고 살아가야 한다. 내가 나를 사랑하는 마음, 스스로 진실된 마음, 자기 자신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는 믿음 위에 세워진 ‘나’라는 존재는 분명 눈이 멀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눈이 멀지 않은 나는 누군가의 아픔, 두려움 또한 안아줄 수 있다. 이는 건강한 마음 위에 세워진 건강한 사람들의 관계일 것이며, 그 위에 세워진 공동체와 사회 또한 이기적이지 않은 건강한 모습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실존주의에서는 삶이란 의미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하더라고요.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들이, 노력이 필요한 것 같아요.”

                                                                                                                                           -지음

인간은 사회와 상호작용하고, 어울리며 살아가는 존재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이 딛고 서있는 땅이 어디인지를 알아야 하고, 건강하게 서있을 수 있어야 한다. 그 상태에서 상대에게 건네는 악수는, 가장 인간답고 건강한 사회의 시작일 것이다.